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6-30 14:32:16
기사수정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이하 특위)의 30일 전체회의에서 정부의 부실한 초동대응이 참사를 키우는 원인이 됐다는 여야 위원들의 질책이 쏟아졌다.

특위는 이날 안전행정부, 국방부, 전라남도, 전남 진도군을 대상으로 첫 기관보고를 받고 안행부를 중심으로 구성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재난 컨트롤타워로서 제 역할을 못했다는 점을 집중 질타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사고 직후 10개가 넘는 대책본부가 만들어졌는데 정보공유 및 조율이 전혀 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특히 중앙재난본부 가동이 무려 53분이나 걸렸고, 안행부 장관은 사고보고를 받고 '대형참사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비판했다.

신의진 의원은 “해경으로부터 제출받은 녹취록을 분석한 결과, 세월호는 국제조난통신망인 16번 채널로 해경에 구난요청을 했지만, 해경이 아무 답신을 하지 않았다”면서, “해경이 퇴선명령을 유도했어야 했다”고 밝혔다.

사고 당일인 4월 16일 진도 VTS에 구조 가능 여부를 물었다가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자, 해경에 9시26분과 28분 두 차례 교신을 시도했으나 해경이 응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김현미 의원은 “사고 당일 해군의 헬리콥터가 10시 1분에 현장에 도착했지만, 구조장비와 인력 없이 정비사만 태우고 가는 바람에 단 한명도 구조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특히 해경 구조대가 있던 전용부두와 거리는 고작 1㎞ 가량에 불과했는데, 태우고 가지 않았다. 상황공유 미흡이 드러난 것”고 밝혔다.

우원식 의원은 “사고 직후 안산소방서가 청해진해운과 목포해경에 사고 상황에 대해 전화로 물어봤지만, 이들은 사고를 이미 인지한 상황에서도 '확인 중이다', 조치 중이다' 라는 답변만 되풀이 하고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았다”면서, “사건을 크게 만들지 않으려고 쉬쉬한 것 아닌지 의심된다”고 말했다.

안전행정부의 안일한 행정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새누리당 윤재옥 의원은 “안행부는 유병언 세모그룹 전 회장의 잠적이 장기화되자 임시반상회를 열고 수배 전단을 배포했다”면서, “대통령의 발언을 의식하고 나온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고 비난했다.

이날 회의에는 특위가 요청한 39명 중 37명의 증인이 출석해 경위를 보고하고 위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한편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매일 특위 위원들의 활동을 평가하고 이후 특위 활동방향에 대한 건의사항을 발표키로 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www.hangg.co.kr/news/view.php?idx=130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