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4-03 18:58:51
기사수정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3일 “무상급식 지원 중단으로 아이들이 상처를 받는다는 진보좌파들의 말은 저급한 감성논리”라고 말했다.

홍 지사는 이날 낮 12시 부산시 부산진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1세기 포럼의 '무상급식, 무엇이 문제인가' 주제의 특강에서 "서민들에게 복지재원을 집중하는 것이 좌파정책인데 우리나라의 진보좌파들은 거꾸로 주장하며 보편적 복지를 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지사는 이어 "차상위 130%의 학생들은 이미 국비로 무상급식을 지원받고 있다. 전면 무상급식 확대로 서민층 학생들에게 돌아갈 공교육의 기회를 빼앗고 있다"면서, “지난해 부유층과 서민층의 교육비 차이가 8배였다. 갈수록 양극화가 심해지고 신분의 세습화, 가난과 부의 대물림이 계속되는 현실에서 무상급식에 쓰일 예산을 서민 자녀들의 교육지원에 집중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홍 지사는 또 “무상급식 찬성파가 스웨덴 등 북유럽 3국의 무상제도를 언급하는데 이는 우리 현실과 전혀 맞지 않다”고 지적하고, “수입의 절반가량을 세금으로 내는 북유럽 3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과세율이 20% 정도로 낮고 빈부격차도 큰 데 보편적 복지를 말하는 것은 이성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홍 지사는 “경남도 교육청의 한해 쓰지 않고 남은 예산이 1천350억원이나 되지만 급식비를 지원하지 못하겠다고 버티고 있다”면서, “1년에 학사관리로 4조원의 예산을 쓰는 도교육청이 지자체에 무상급식 예산을 내놓으라고 하는 것은 정상적이지 못하다”고 말했다.

홍 지사는 ‘무상급식 문제를 여론조사로 결정하자’는 분위기와 관련해, “이건 설득의 문제이고 지도자의 결단 문제이지, 대중의 눈치를 보다가 결단을 시기를 놓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 지사는 ‘무상급식 지원 중단이 노이즈 마케팅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한국 복지의 거대 담론을 이야기하는데 일부 언론이 수준 낮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무상급식 지원 중단에 반발이 많지만 흔들릴 생각이 없다”면서, “진정한 복지는 부자가 제대로 세금을 낼 만큼 내면서 남 눈치 안보며 살 자유를 주고 서민에게는 기회를 주고 쓰러지면 도와주는 것으로, 서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예산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www.hangg.co.kr/news/view.php?idx=230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