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12-30 21:09:18
  • 수정 2018-12-31 01:18:13
기사수정
경복궁 정문 광화문(光化門) 현판이 검정 바탕에 금색 글씨임을 뒷받침하는 사료가 추가로 나타났다.



[이승준 기자]경복궁 정문 광화문(光化門) 현판이 검정 바탕에 금색 글씨임을 뒷받침하는 사료가 추가로 나타났다.


광화문 현판은 2010년 복원 당시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제작했으나, 오랫동안 색상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문화재청은 균열이 발생한 현판을 교체키 위한 재제작 과정에서 자료 고증과 촬영 실험을 진행해 검정 바탕에 금박 글씨로 바꾸기로 결정한 상태이다.


석조미술사를 전공한 김민규 씨(동국대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수료)는 27일 “일본 와세다대에 있는 ‘경복궁 영건일기’를 분석해 광화문 현판 색상이 검정 바탕에 금색 글자임을 뜻하는 ‘묵질금자(黑質金字)’라는 기록을 찾았다”고 밝혔다.


김씨는 국립고궁박물관이 발간하는 학술지 ‘고궁문화’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 ‘경복궁 영건일기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에서 영건일기에 남은 다양한 상징물을 살폈다.


경복궁 영건일기는 1865년 4월부터 1868년 7월까지 궁궐 조성 과정을 소상하게 적은 기록물로, 와세다대에만 9책 9권으로 이뤄진 완질이 있다고 알려졌다. 서울대 도서관에는 1865년 6∼9월에 해당하는 권2 한 책만 전한다.


김씨는 “화재에 취약한 목조건축 특성상 경복궁에는 불을 제압하는 제화의 상징이 곳곳에 있다”면서, “영건일기에 기록된 현판 제양을 보면 광화문, 근정전, 경회루, 교태전, 강녕전, 근정문, 건춘문, 신무문은 바탕이 모두 검은색”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영건일기는 교태전과 강녕전 현판을 ‘묵질금자’로 단청했다면서 “각 전당은 모두 흑질(검은 바탕)로 했고, 불을 제압하는 이치를 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씨는 이어 “글씨가 금색인 현판은 제작 방법이 두 가지로 나뉜다”면서, “광화문과 근정전의 현판은 동판을 글씨 모양으로 자른 뒤에 금을 칠한 것”이라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근정전 현판 글자가 금색이 아닌 검은색에 가까운데, 이는 광화문도 비슷하다. 도금한 금이 벗겨지고, 동이 부식돼 검푸르게 보였다고 짐작한다”고 말했다./자료사진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www.hangg.co.kr/news/view.php?idx=512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