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3-18 07:41:03
기사수정

이촌파출소 서울 용산구가 용산경찰서와 손잡고 이촌1동주민센터 건물에 ‘거점형 치안센터’를 만든다.


이촌파출소 폐쇄에 따른 치안공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다.


센터 조성 장소는 건물 내 ‘건강사랑방’ 일대다.


구는 빠르면 이달 중 소규모 리모델링을 거쳐 25㎡ 내외 공간을 확보한다.


시설 입주는 이촌파출소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4월 30일 이전에 완료될 예정이다.


구는 경찰 요청에 따라 주민들의 왕래가 많고 방문이 용이한 곳 시인성이 높고 기존 파출소 위치와 근접한 곳 7인의 근무자 수용이 가능하고 방문민원인을 응대할 수 있는 곳 순찰·교통차량 주차가 가능한 곳으로 센터 설치 장소를 확보했다.


규모는 기존 파출소보다 작지만 일일 최대 7명의 경찰관과 차량 2대가 상주하는 만큼 치안공백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구와 경찰의 설명이다.


구는 또 장기적으로 이촌동 왕궁아파트 재건축을 통해 파출소를 신설할 수 있도록 조합과 협의를 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이촌파출소 폐쇄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거점형 치안센터를 만든다”며 “장기적으로 인근 대체부지에 파출소를 신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촌파출소 폐쇄는 수년 전부터 예고된 일이었다.


지난 2007년 10월 유한회사 ‘마켓데이’가 공무원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이촌파출소 부지와 그 인근 이촌소공원을 약 42억원에 사들였다.


마켓데이는 이후 경찰청에 파출소 이전을 요구했고 경찰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2013년 파출소 부지 사용료 지급 청구 소송을 제기, 2017년 승소했다.


2017년에는 파출소 철거 소송을 내 1,2심 모두 승소했으며 지난해 이촌파출소 건물까지 매입했다.


성장현 구청장은 “꿈나무소공원을 매입, 이촌파출소를 현 위치에 존치시키려 했지만 법률상 불가했다”며 “그 대안으로 동주민센터 건물에 거점형 치안센터를 만들고 인근 주택 재건축사업 시 공공기여를 통해 파출소 조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는 꿈나무소공원 토지·건물 매입과 공원 조성은 계획대로 추진한다.


올해 초 관련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 고시를 냈다.

0
기사수정

[추가자료]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www.hangg.co.kr/news/view.php?idx=584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