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8-22 16:22:27
기사수정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 기간이 27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지난 5월 14일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전쟁없는세상, 청년좌파,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KAC) 등 단체 회원들이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War Resisters` International)에서 정한 세계 병역거부자의날을 기념해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에서 병역거부권을 주장하고 대체복무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광섭 기자]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 기간이 27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22일 ‘양심적 병역건부 대체복무제 쟁점별 검토’ 자료를 통해 대체복무 기간으로 36개월 혹은 27개월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36개월 안에 대해 “영내에서 24시간 생활하는 현역병이 박탈감을 느끼지 않고 (대체복무를)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기간 설정”이라면서 “전문연구요원과 공중보건의, 공익법무관 등의 복무기간이 36개월인 점과의 형평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27개월 안에 대해서는 “(유엔 인권이사회 등은) 대체복무 기간이 현역병의 1.5배 이상일 경우에는 징벌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본다”면서 검토 이유를 설명했다.


국방부와 법무부, 병무청이 참여하는 ‘대체복무제 실무추진단’ 내에서는 36개월 복무 의견이 많고, 특히 병역 자원을 관리하는 병무청은 대체복무제가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36개월 이상 복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복무방식으로는 현역병처럼 합숙근무만 허용하는 방안과 합숙근무를 원칙으로 하면서 예외적으로

출퇴근을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국방부는 또 복무기관으로는 교도소와 소방서, 국공립병원, 사회복지시설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심적 병역거부자 여부를 판정하는 심사기구를 어느 기관에 설치할 것인가를 두고 국방부 관계자는 “군으로부터의 독립성을 확보키 위해 심사기구를 국무총리실 또는 법무부에 두는 방안과 병역판정 및 병역면탈 적발에 전문성을 갖춘 병무청에 두는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면서, “원심 판정에 불복하면 재심까지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달 중으로 대체복무제 실무추진단이 마련한 안을 토대로 다음달 정부 안을 확정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헌법재판소는 지난 6월 28일 대체복무제를 규정하지 않은 병역법 5조 1항에 대해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헌법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서 내년 12월 31일까지 대체복무제를 포함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www.hangg.co.kr/news/view.php?idx=4535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